한국축구지도자협회가 정몽규 대한축구협회 회장의 사퇴를 촉구했다.
한국축구지도자협회는 5월 7일 성명서를 발표하고 “한국 남자축구가 10회 연속 올림픽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1984년 LA 올림픽 이후 40년 만이다. 이것은 우연한 결과가 아닌 예고된 참사였다. 축구 지도자들은 이미 오래전부터 이런 결과를 우려하며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해 줄 것을 수차례 협회에 건의했다”며 “언론도 이미 주먹구구식 대표팀 감독선임 및 운용에 대해 상당한 수준의 경고를 쏟아냈으나 대한축구협회 정몽규 회장 및 집행부는 매번 이런 우려를 묵살했다”고 주장했다.
이어 “2024년 파리올림픽 출전을 목표로 한 한국 올림픽대표팀은 올림픽 예선을 한 달 앞두고 치러진 마지막 실전 점검 무대였던 서아시아축구연맹(WAFF) U-23 챔피언십 대회에 출전했으나 정작 사령탑이었던 황선홍 감독은 현장에 없었다”며 “수많은 축구지도자 및 전문가들이 ‘동남아를 비롯한 아시아 각국 출전팀 수준이 상향 평준화되어 있다’는 정보를 집행부에 전달했음에도, 정몽규 회장은 당시 클린스만호의 대표팀이 국민적 비난 여론에 직면하자 이를 무마하고자 올림픽팀 감독을 임시로 A대표팀을 지휘하도록 땜질식 처방을 강행했다”고 비판했다.
한국축구지도자협회는 “2013년 취임한 정몽규 대한축구협회장 체제는 그간 선배, 후배들이 공들여 쌓아 올린 한국 축구의 위상과 자긍심을 그의 재임 기간 모두 무너뜨렸다”며 “정 회장은 몇몇 대표팀의 성과를 본인의 명예와 치적으로 포장하고 있지만, 정작 중요하고 시급한 한국축구의 본질적 문제는 덮어두고 외면해 왔음을 우리 국민과 축구 지도자들은 모두 알고 있다”고 했다.
또한 “축구지도자 일동은 한국 축구가 올림픽에 나가지 못해 상심한 축구팬들의 불만을 지도자 탓으로만 돌리고 사과조차 하지 않고 숨어 있는 정몽규 회장에게 심한 회의감을 느끼고 있다”며 “2013년 취임 후 현장의 선수, 지도자들은 다양한 목소리로 변화와 개혁을 요구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고 오히려 축구 저변은 더 줄어들었고 현장의 고통은 가중되고 있다”고 호소했다.
아울러 “이제 한국 축구 지도자 일동은 오로지 대표팀 성적에만 의존해 성과와 열매만 취해온 축구협회 지도부를 더는 방관할 수 없다. 우리 축구지도자는 정몽규 회장이 이 모든 사태의 책임을 지고 즉각 물러날 것을 요구한다”고 했다.
마지막으로 한국축구지도자협회는 “우리 축구지도자들은 한국 축구의 발전을 위한 간절하고 치열한 현장의 목소리를 외면하는 대한축구협회 집행부에 대해 분노한다”며 “한국 축구의 위상은 바로 우리 축구인 스스로가 세워 가야 한다. 더 이상의 방관은 한국 축구를 또다시 수십 년 후퇴시킬 뿐이다”이라고 강조했다.
한국 축구는 최근 국제 대회에서 부진한 성적을 거뒀다. 지난 2월 아시안컵 4강전서 요르단에 패해 탈락한데 이어, 지난달 올림픽대표팀도 ‘U-23 아시안컵’ 8강전서 인도네시아에 패하며 올림픽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저작권자 ⓒ 무예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축구 관련기사목록
|
많이 본 기사
|